DesignPattern 썸네일형 리스트형 [디자인패턴] MVVM 패턴(3) 1. 프로젝트 설정 및 구조 먼저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MVVM 아키텍처를 적용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android-design-pattern-mvvm/ ├── app/ │ ├── src/ │ │ ├── main/ │ │ │ ├── java/ │ │ │ │ ├── com/ │ │ │ │ │ ├── wookgenie/ │ │ │ │ │ │ ├── android_design_pattern_mvvm/ │ │ │ │ │ │ │ ├── ui/ │ │ │ │ │ │ │ │ ├── BaseActivity.kt │ │ │ │ │ │ │ │ ├── BaseViewModel.kt │ │ │ │ │ │ │ │ │ ├── main/ │ │ │ │ │ │ │ │ │ │ ├── MainActiv.. 더보기 [디자인패턴] MVVM 패턴(2) MVVM 아키텍처 기반 안드로이드 앱 개발 가이드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MVVM 아키텍처는 코드의 모듈화와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드는 강력한 패턴입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MVV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는 단계를 소개하겠습니다. 1. MVVM 아키텍처 소개 MVVM 아키텍처는 Model, View, ViewModel의 세 가지 주요 컴포넌트로 구성됩니다. 각 컴포넌트의 역할을 이해하고, 각각의 책임을 분리하여 개발합니다. 2. 프로젝트 설정 및 구조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필요한 디렉토리 구조를 설정합니다. Model, View, ViewModel에 해당하는 클래스들을 생성하고 패키지를 구성합니다. 3. Model 구현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요청 등과 관련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M.. 더보기 [디자인패턴] MVVM 패턴(1) 1. MVVM이란? MVVM 패턴은 세 가지 주요 컴포넌트로 구성됩니다. Model: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합니다. View: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냅니다. 데이터의 시각적 표현을 담당합니다. ViewModel: View와 Model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합니다. View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며, Model과의 상호 작용을 관리합니다. 2. 각 컴포넌트의 역할 Model Model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합니다.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요청, 파일 처리 등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합니다. Model은 독립적이며 UI와 관련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View View는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화면의 레이아웃, 디자인..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