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썸네일형 리스트형 [라이브러리] Retrofit2(4) Retrofit2를 활용한 Android 앱 개발 서비스 적용 이 포스팅에서는 Retrofit2를 사용하여 안드로이드 앱에서 네트워크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Retrofit2를 사용하면 편리한 API 호출과 응답 처리를 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네트워크 통신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1 RetrofitHelper 클래스 소개 RetrofitHelper 클래스는 Retrofit2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Helper 클래스입니다. 이 클래스는 네트워크 통신 설정, 통신 타임아웃 설정, 로딩 표시 여부 설정, 응답 데이터 처리 여부 등을 관리합니다. 1-1 RetrofitHelper 클래스 초기화 class RetrofitHelper(private val mTranListene.. 더보기 [라이브러리] Retrofit2(3) Retrofit2를 활용한 Android 앱 개발 공통 모듈 1. ApiService 인터페이스 ApiService 은 안드로이드 앱에서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엔드포인트 및 HTTP 메서드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각 API 엔드포인트에 대한 요청을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습니다. 1-1 requestGET interface ApiService { @GET("/{id}") suspend fun requestGET( @Path("id") groupId: String, @QueryMap options: Map? = null ): Response } 기능: GET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요청합니다. 파라미터: - groupId: API에서 사용할 그룹 ID. - options: 쿼리 매개변수로 사용할.. 더보기 [라이브러리] Retrofit2(2) Retrofit2 vs. Volley: 안드로이드 HTTP 통신 라이브러리 비교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Retrofit2와 Volley 라이브러리를 비교하며, 각 라이브러리의 특징과 장단점을 표로 정리하여 살펴보겠습니다.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라이브러리를 선택할 때 고려해볼 만한 내용들을 알아보겠습니다. 1. Retrofit2 특징 설명 간결한 API 정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명확한 API 요청을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자동 데이터 변환 Gson과 같은 컨버터를 사용하여 JSON 데이터를 자바 객체로 자동 변환합니다. 스레드 관리 비동기적으로 요청을 처리하며, RxJava와 연동하여 더욱 효율적인 비동기 처리가 가능합니다. 2. Volley 특징 설명 간단한 사용법.. 더보기 [라이브러리] Retrofit2(1) Retrofit2: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위한 HTTP 통신 라이브러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Retrofit2에 대해 소개하고, 장단점, 구성 요소, 기본적인 사용 방법, 주요 사항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Retrofit2는 안드로이드 앱에서 서버와의 통신을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필수 라이브러리입니다. 1. Retrofit2 Retrofit2는 Square에서 개발한 라이브러리로, 안드로이드 앱에서 서버와의 통신을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기본적으로 OkHttp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하며, HTTP 통신 작업을 추상화하여 간편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2. 장단점 장점: 간결한 API 정의: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API 요청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자동 데이터 변환.. 더보기 [디자인패턴] MVVM 패턴(3) 1. 프로젝트 설정 및 구조 먼저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MVVM 아키텍처를 적용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android-design-pattern-mvvm/ ├── app/ │ ├── src/ │ │ ├── main/ │ │ │ ├── java/ │ │ │ │ ├── com/ │ │ │ │ │ ├── wookgenie/ │ │ │ │ │ │ ├── android_design_pattern_mvvm/ │ │ │ │ │ │ │ ├── ui/ │ │ │ │ │ │ │ │ ├── BaseActivity.kt │ │ │ │ │ │ │ │ ├── BaseViewModel.kt │ │ │ │ │ │ │ │ │ ├── main/ │ │ │ │ │ │ │ │ │ │ ├── MainActiv.. 더보기 [디자인패턴] MVVM 패턴(2) MVVM 아키텍처 기반 안드로이드 앱 개발 가이드 안드로이드 앱 개발에서 MVVM 아키텍처는 코드의 모듈화와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만드는 강력한 패턴입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MVV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는 단계를 소개하겠습니다. 1. MVVM 아키텍처 소개 MVVM 아키텍처는 Model, View, ViewModel의 세 가지 주요 컴포넌트로 구성됩니다. 각 컴포넌트의 역할을 이해하고, 각각의 책임을 분리하여 개발합니다. 2. 프로젝트 설정 및 구조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필요한 디렉토리 구조를 설정합니다. Model, View, ViewModel에 해당하는 클래스들을 생성하고 패키지를 구성합니다. 3. Model 구현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요청 등과 관련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M.. 더보기 [디자인패턴] MVVM 패턴(1) 1. MVVM이란? MVVM 패턴은 세 가지 주요 컴포넌트로 구성됩니다. Model: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담당합니다. View: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냅니다. 데이터의 시각적 표현을 담당합니다. ViewModel: View와 Model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합니다. View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며, Model과의 상호 작용을 관리합니다. 2. 각 컴포넌트의 역할 Model Model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합니다.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요청, 파일 처리 등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합니다. Model은 독립적이며 UI와 관련된 부분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View View는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화면의 레이아웃, 디자인.. 더보기 이전 1 다음